Robot Science Museum

과학과 기술의 총체인 로봇과학, 그 미래형식의 불확정성을 ‘움직이는 플로어’를 통해 유연하게 수용하는 계획안이다. 20미터 단일공간인 기획전시관은 3, 4층의 전시관과 ‘움직이는 플로어’를 통해 연결, 단절, 반연결 등의 공간적 관계를 통해 변화하는 로봇기술을 담아낸다. 움직이는 플로어는 기계공학, 제어기술 등이 적용되는 공간적 로봇이며, 로봇과학관이라는 형식을 메커니즘으로서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일체화시킨다. 가로세로 17미터 천장 20미터높이 기획전시관은 단일공간으로 계획. 기획전시관 내부에 17미터, 8미터 2개의 움직이는 플로어가 3, 4층 높이의 분리된 전시실과 다양한 물리적 연결관계를 형성시킨다. 드론과 같은 날아다니는 로봇을 전시할 수 있다. 20미터의 높은 천장고에 더하여 3, 4층의 전시실을 연결하는 입체적 전시공간으로 대규모 기획전시가 가능하다. 2개의 움직이는 플로어의 다양한 수직배치를 통해 다양한 공간분할, 통합을 구성할 수 있다. 지하수장고는 별도의 화물리프트가 북측 관리차량동선으로 접근하도록 계획. 기획전시실 후면 슬라이딩 도어로 화물트럭이 직접 운송할 수 있다. 기회전시관의 ‘움직이는 플로어’를 화물플래폼으로 사용하여 3, 4층 전시실로 작품을 운송한다.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한 기획전시관, 전시실을 움직이는 플로어를 통해 다양한 레벨에서 입체적 전시를 가능하게 하였다. 전시매스는 철골구조로 움직이는 플로어 철골시스템과 일체화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머지 지원시설매스는 RC구조로 계획하였다. 2가지 다른 구조, 매스는 시각적으로 드러나 조직구성이 보이도록 계획하였다. 랙앤피니언 무빙플로어 시스템(rack & pinion moving floor system)을 적용. 주로 공사용엘리베이터, 극장 무대시스템, 대규모 행사 등에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2012년 OMA가 Lafayette glallery(Paris)를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리모델링하였으며, 우리나라는 대전, 광주 문화시설 등에 사용된 바 있다. 한 플로어당 자중 40톤의 하중, 동하중(dynamic load)는 800kg/sqm를 적용하여 변이와 반력을 분석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Visualization

 

  • 디자인팀UIA (유아이에이 건축사사무소), 이스트그룹 건축사사무소
  • 건물 위치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1-25
  • 건축 형태 신축
  • 건축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 대지 면적 (㎡) 2,500.1㎡
  • 건축면적 (㎡) 1,460.34㎡
  • 연면적 (㎡) 6,287.95㎡
  • 주요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심기화 송준엽 위진복 이화정

위로 스크롤